허리케인 카트리나로 도시가 물에 잠겨 버린 뉴올리언스는 재건될 것인가.
지난 9월1일부터 4일까지 현지를 취재하면서 본 뉴올리언스는 말 그대로 ‘폐허’ 그 자체였다. 인구 50만명의 거대한 도시 전체가 융단폭격을 맞은 듯 처참히 부서져 있었다. 크고 작은 건물은 어느 것 하나 성한 데가 없었다. 특히 지붕 위까지 물에 잠진 가옥들은 물이 빠지더라도 그대로 쓸 수 없어 대부분의 집들은 다시 지어야 할 처지다.
‘미국의 유일한 유럽도시’, ‘재즈의 본고장’ 등으로 불리는 뉴올리언스를 재건할지, 아니면 아예 도시 자체를 포기하고 다른 곳으로 옮길지 논란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시 자체가 해수면보다 낮기 때문에 도시를 재건하더라도 늘 이번 카트리나와 같은 재앙의 악몽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수십~수백억달러를 들여 도시를 재건하느니, 다른 안전한 땅에 시를 다시 짓는 게 낫지 않느냐는 얘기는 그래서 한편으로 설득력을 갖고 있다.
뉴올리언스는 과거 노예 시절의 영향으로 인구의 3분의 2가 흑인. 재즈 음악도 이들이 만들어 낸 것이다. 그런데 뉴올리언스가 폐허로 변하면서 이들 가난한 흑인들은 당장 일자리를 잃고 먹고 살 방도마저 막막해졌다. 미국 언론들은 “흑인 중 상당수는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전한다. 관광산업이 시 경제의 주축인 이 도시에서 흑인들이 복구에 걸릴 수년 동안을 버틸 방법도, 이유도 없다는 것이다.
백인들 중 상당수도 아이들의 학교와 일자리 등을 걱정하며 “당분간은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사람이 돌아오지 않으면 뉴올리언스는 도시가 다시 정비되고 건물이 지어져도 옛날의 그 향취를 낼 수가 없다. 지금 뉴올리언스를 아끼는 사람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도 이 대목이다.
미시시피 강 어귀에 있는 뉴올리언스는 유서 깊은 역사를 갖고 있다. 1718년 프랑스 귀족인 장 밥티스트 르 모인이 기술자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만든 도시다. 첫 이름은 ‘라 누벨 올리언스(La Nouvelle Orleans). 이후 첫 4년간 네 차례나 허리케인으로 황폐해진 경험이 있다. 뉴올리언스는 대형 국제항구 덕분에 남부에서 가장 크고 부유한 도시가 됐다. 그러나 바로 그 위치 때문에 바다에서 가해지는 공격에 취약해 프랑스와 스페인계 주민들은 1815년 전쟁에서 군인, 노예, 민병대, 인디언, 해적들과 합세해 영국군과 싸워야 했다. 또 모기에 의한 황열병이 1800년대 중반 해마다 퍼져 수천명이 사망했고, 화재와 허리케인, 홍수 등 도시를 공격하는 끔찍한 자연재해가 끊이지 않았다.
그래도 뉴올리언스는 280여년 동안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오면서 사람들을 끌어들였고, 관광으로 번창했다. 도시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연간 1000만명이 넘고, 이 도시에서는 연간 3000회의 회담과 총회가 열린다. 가장 유명한 행사인 ‘지상 최고의 공짜 쇼’ 마르디 그라(Mardi Gras) 카니발은 매년 10억달러 이상의 수입을 벌어들인다.
또 연례적으로 재즈축제가 열리며 장례식에서도 재즈가 연주될 정도다. 미국에서 가장 이국적인 도시로 통한다.
도시가 건축물만으로 이뤄진다면 재건은 돈으로 가능할지 모른다. 하지만 뉴올리언스는 건축물보다는 그 속에 배어 있는 이런 오랜 문화가 더 큰 자산이다. 이런 문화는 도시의 건물만을 다시 짓는다고 되살아나는 게 아니라 사람이 만들어 내는 것이란 점에 뉴올리언스 재건의 열쇠가 있다.
지난 9월1일부터 4일까지 현지를 취재하면서 본 뉴올리언스는 말 그대로 ‘폐허’ 그 자체였다. 인구 50만명의 거대한 도시 전체가 융단폭격을 맞은 듯 처참히 부서져 있었다. 크고 작은 건물은 어느 것 하나 성한 데가 없었다. 특히 지붕 위까지 물에 잠진 가옥들은 물이 빠지더라도 그대로 쓸 수 없어 대부분의 집들은 다시 지어야 할 처지다.
‘미국의 유일한 유럽도시’, ‘재즈의 본고장’ 등으로 불리는 뉴올리언스를 재건할지, 아니면 아예 도시 자체를 포기하고 다른 곳으로 옮길지 논란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시 자체가 해수면보다 낮기 때문에 도시를 재건하더라도 늘 이번 카트리나와 같은 재앙의 악몽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수십~수백억달러를 들여 도시를 재건하느니, 다른 안전한 땅에 시를 다시 짓는 게 낫지 않느냐는 얘기는 그래서 한편으로 설득력을 갖고 있다.
뉴올리언스는 과거 노예 시절의 영향으로 인구의 3분의 2가 흑인. 재즈 음악도 이들이 만들어 낸 것이다. 그런데 뉴올리언스가 폐허로 변하면서 이들 가난한 흑인들은 당장 일자리를 잃고 먹고 살 방도마저 막막해졌다. 미국 언론들은 “흑인 중 상당수는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전한다. 관광산업이 시 경제의 주축인 이 도시에서 흑인들이 복구에 걸릴 수년 동안을 버틸 방법도, 이유도 없다는 것이다.
백인들 중 상당수도 아이들의 학교와 일자리 등을 걱정하며 “당분간은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사람이 돌아오지 않으면 뉴올리언스는 도시가 다시 정비되고 건물이 지어져도 옛날의 그 향취를 낼 수가 없다. 지금 뉴올리언스를 아끼는 사람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도 이 대목이다.
미시시피 강 어귀에 있는 뉴올리언스는 유서 깊은 역사를 갖고 있다. 1718년 프랑스 귀족인 장 밥티스트 르 모인이 기술자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만든 도시다. 첫 이름은 ‘라 누벨 올리언스(La Nouvelle Orleans). 이후 첫 4년간 네 차례나 허리케인으로 황폐해진 경험이 있다. 뉴올리언스는 대형 국제항구 덕분에 남부에서 가장 크고 부유한 도시가 됐다. 그러나 바로 그 위치 때문에 바다에서 가해지는 공격에 취약해 프랑스와 스페인계 주민들은 1815년 전쟁에서 군인, 노예, 민병대, 인디언, 해적들과 합세해 영국군과 싸워야 했다. 또 모기에 의한 황열병이 1800년대 중반 해마다 퍼져 수천명이 사망했고, 화재와 허리케인, 홍수 등 도시를 공격하는 끔찍한 자연재해가 끊이지 않았다.
그래도 뉴올리언스는 280여년 동안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오면서 사람들을 끌어들였고, 관광으로 번창했다. 도시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연간 1000만명이 넘고, 이 도시에서는 연간 3000회의 회담과 총회가 열린다. 가장 유명한 행사인 ‘지상 최고의 공짜 쇼’ 마르디 그라(Mardi Gras) 카니발은 매년 10억달러 이상의 수입을 벌어들인다.
또 연례적으로 재즈축제가 열리며 장례식에서도 재즈가 연주될 정도다. 미국에서 가장 이국적인 도시로 통한다.
도시가 건축물만으로 이뤄진다면 재건은 돈으로 가능할지 모른다. 하지만 뉴올리언스는 건축물보다는 그 속에 배어 있는 이런 오랜 문화가 더 큰 자산이다. 이런 문화는 도시의 건물만을 다시 짓는다고 되살아나는 게 아니라 사람이 만들어 내는 것이란 점에 뉴올리언스 재건의 열쇠가 있다.
ⓒ 조선경제아이 & economychosun.com
-
- 이전글
- 홍콩 여인천하시대 열리나
-
- 다음글
- 자발적 직업 포기
이번주 인기 기사
-
단골 넘어 입소문·제작 참여 팬을 만드는 마케팅 가성비보다 열정·즐거움·가치 공유 팬덤 키워 경제 위기 돌파
-
[Interview]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 “올 2분기, 실수요자 내 집 마련 적기…재건축 아파트 주목”
-
[르포] SK온, 美 단일 부지 내 최대 규모 배터리 생산 매년 픽업트럭 82만 대분 배터리 쏟아내는 SK·포드 합작 공장
-
[르포] 美 제조업 혁신 아이콘 된 LG전자 테네시 공장 로봇이 쌓고 옮기고 불량 체크…미래 스마트 공장 현실로
-
[Interview] 배재규 한국투자신탁운용 대표 “일부 손해 나도 수익 얻는 포트폴리오 구성이 답”
-
김지수의 파워 인터뷰 | 송길영 바이브컴퍼니 부사장 “극한 배려 사회… 세심한 자가 살아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