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경제학자 존 M. 케인즈는 “소비는 미덕”이라고 했다. 경제라는 엔진을 움직이는 동력이 소비라는 의미에서다. 그러나 지금 우리 경제는 소비가 얼어붙고 있다. 실질소득이 감소한 탓도 있겠지만 심리적 요인이 더욱 강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꽁꽁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녹일 수 있는 것은 미래에 대한 희망이다. 또 경제회생에 대한 자신감에서도 소비는 살아난다. 소비를 살려 경제를 회생시켜야 하는 과제가 발등의 불이 된 것이다. 왜 소비가 얼어붙었는지, 또 외국에서는 어떻게 소비를 회복시켰는지, 현재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살펴본다.
Part1 소비자 왜 돈 안 쓰나? 미래 불확실성에 미동조차 안해
Part2 최근 소비 트렌드와 기업 대응 여유로운 생활추구로 웰빙상품 ‘불황중 호황’
Part3 일본 사례로 본 소비활성화 해법 기업이 소비 이끌어내야, 소비 코드 읽으면
호황도 멀지 않아
Part4 주말 마케팅이 뜬다 가족 중심적 여가문화 변화 노려야
Part5 지갑을 열어라 저가·초저가 vs 럭셔리 명품
Part1 소비자 왜 돈 안 쓰나? 미래 불확실성에 미동조차 안해
Part2 최근 소비 트렌드와 기업 대응 여유로운 생활추구로 웰빙상품 ‘불황중 호황’
Part3 일본 사례로 본 소비활성화 해법 기업이 소비 이끌어내야, 소비 코드 읽으면
호황도 멀지 않아
Part4 주말 마케팅이 뜬다 가족 중심적 여가문화 변화 노려야
Part5 지갑을 열어라 저가·초저가 vs 럭셔리 명품
ⓒ 조선경제아이 & economychosun.com
-
- 이전글
- 흔들리는 ‘이헌재’식 경제
-
- 다음글
- | 소비자 왜 돈 안쓰나? |
이번주 인기 기사
-
단골 넘어 입소문·제작 참여 팬을 만드는 마케팅 가성비보다 열정·즐거움·가치 공유 팬덤 키워 경제 위기 돌파
-
[Interview]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 “올 2분기, 실수요자 내 집 마련 적기…재건축 아파트 주목”
-
[르포] SK온, 美 단일 부지 내 최대 규모 배터리 생산 매년 픽업트럭 82만 대분 배터리 쏟아내는 SK·포드 합작 공장
-
[르포] 美 제조업 혁신 아이콘 된 LG전자 테네시 공장 로봇이 쌓고 옮기고 불량 체크…미래 스마트 공장 현실로
-
[Interview] 배재규 한국투자신탁운용 대표 “일부 손해 나도 수익 얻는 포트폴리오 구성이 답”
-
김지수의 파워 인터뷰 | 송길영 바이브컴퍼니 부사장 “극한 배려 사회… 세심한 자가 살아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