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애그테크(AgTech·농업+기술)’라고 불 리는 농업 분야의 혁신은 이전 기술 발전과 완전히 다릅니다. 새로운 기술과 기업이 나타나 기존 산업 질서를 무너뜨린다는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의 교과서적인 사례가 ..
170호_2016년 10월 10일영국의 유니콘 기업인 샤잠은 음악을 인식해 정보를 알려주는 문자메시지 서비스로 출발해 지금은 다양한 미디어의 광고 시장까지 진출한 첨단 기술 기업으로 부상했다. <사진 : 샤잠 공식 홈페이지> 1990년대 청소년의 성장기를 다룬 영화 ‘월플라워’ 속 주..
170호_2016년 10월 10일일본 도쿄에 위치한 니토리 매장. 니토리는 일본 전역에 346개 매장을 운영하면서 박리다매와 다품종 대량생산 전략으로 매출과 이익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진 : 니토리> <이코노미조선>은 8월 17일 자(163호) 커버스토리에서 ..
169호_2016년 10월 03일중국 정부가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해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며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도 구체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때다. 사진은 중국 상하이의 SMIC 공장 내부 모습. <사진 : 블룸버그> 2014년 6월, 중국 정부가 10년 동안..
169호_2016년 10월 03일존 커린의 ‘옵티미스트(왼쪽)’와 리차드 문의 ‘펠리시아’. <사진 : 뮤추얼아트, 리차드 문 홈페이지> 질문: 누가 그렸는지 모르는 그림을 봤을 때, 당신은 그 그림이 1000파운드의 가치가 있는지 혹은 1만파운드의 가치가 있는지 어떻게 아는가? 답변:..
169호_2016년 10월 03일광활한 대륙과 9억명 넘는 소비자, 풍부한 지하자원까지. 아프리카는 아랍처럼 거대한 잠재력을 품은 미지의 시장입니다. 잠재성은 알고 있지만 낙후한 인프라 때문에 아프리카 대륙에 진출하길 망설이곤 합니다. 그러나 마케팅 업계에서 손꼽히는 석학 마하잔 교..
169호_2016년 10월 03일맥킨지의 나이지리아 라고스 사무소 책임자인 아차 레케(Acha Leke·38) 디렉터는 ‘아프리카 투자 전도사’로 불리는 인물입니다. 2010년 6월 아프리카의 경제적 잠재력을 다각도로 분석한 보고서 ‘움직이는 사자: 아프리카 경제의 진전과 잠재력’..
169호_2016년 10월 03일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는 지난 2013년 1월 5일 아프리카에 관한 칼럼 한 편을 내놓았습니다. 아프리카 대륙에서의 디지털 혁명에 대한 그의 관점이 담겨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에서 제가 세상에 보여준 것은 시장의 규칙을 바꿀 수 ..
169호_2016년 10월 03일파페치는 온오프라인을 결합한 개념의 명품 부티크 플랫폼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사진 : 파페치 영국 홈페이지> 전 세계 각지를 여행하다 보면 오랜 역사를 가진 독특한 패션 부티크들을 볼 수 있다. 100년 역사의 베네치아 ‘알두카다오스타(Al Duca ..
166호_2016년 09월 05일한국야쿠르트의 대표적인 발효유 제품인 ‘야쿠르트’는 출시 45년 만에 누적 판매량 480억병을 돌파했다. <사진 : 한국야쿠르트> 한국야쿠르트는 1971년 요구르트를 국내에 처음 선보인 발효유 대표 기업이다. 2000년에 내놓은 '헬리코박터프로젝트 윌'..
165호_2016년 08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