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사회과학원 경제학 박사, 전 중국삼성경제연구소 소장, 전 산업은행 산은경제연구소장, 현 밸류컨설팅(차이나) 대표
2020년 11월 중국 금융 당국은 앤트파이낸셜(중국명 마이진푸) 상장이 초읽기에 들어간 상태에서 급작스럽게 중단시켜 시장에 큰 충격을 던졌다. 이는 2018년 중국 금융 당국의 비전통 금융회사에 대한 규제 강화로 상장이 두 차례나 연기된 데 이어 재차 연기된 것이라 충격 그 자체였다. 그만큼 중국 당국이 매우 엄중한 사태로 인식했다는 것을 방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번 앤트파이낸셜 상장 연기는 홍콩 증시에서의 상장도 포함되어 있어 수많은 외국인이 개입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고려치 않고 단행한 것이다.
이번 사태의 원인 중 하나로 왕치산(王岐山) 중국 국가부주석의 분노가 언급되는 것을 보고 1990년대 말 중국의 GITIC(광둥성 투자신탁공사) 처리 상황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당시 수많은 외국 금융기관들이 대주주로 참여한 GITIC에 대한 대규모 부실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외국 금융기관들은 내국인보다는 좀 나은 대우를 해주겠지 하는 기대가 있었으나, 그런 기대는 베이징에서 GITIC 사태 처리반장으로 내려온 왕치산 당시 광둥성 부성장이 휘두른 칼날에 여지없이 꺾여 버렸다. 안위서(Comfort Letter)라는 것을 받으면서 보증서(Guarantee)는 아니지만 문제 발생 시 우대를 받을 거라는 당시의 금융관행에 쐐기를 박는 조치를 아무 거리낌 없이 행사한 것이다. 이를 통해 중국은 광둥성이 져야 할 커다란 외채 부담에서 벗어났지만, 외국 금융기관들은 왕치산의 결단에 눈물을 머금고 커다란 손실을 떠안게 되었다. 이번 홍콩 상장 연기도 많은 외국 기관이 연결돼 있었으나 그런 것은 왕치산의 결정에 별로 고려 대상이 아니었을 것으로 추론된다. GITIC 문제를 해결한 왕치산은 이후 당시 패닉 상황으로 치닫고 있던 사스(SARS)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다시 베이징으로 날아가 문제를 해결하면서 중국의 ‘위기 소방수’로 이름을 날렸다.
이런 왕치산이 기조연설을 한 포럼에서 마윈이 중국의 금융규제를 정면으로 비판했으니 마윈이 사업가로서는 좀 상궤를 벗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왕치산이 온라인으로 참석하긴 했지만 같은 행사에서 마윈은 중국 당국을 저격하는 작심발언을 했다. 중국의 금융 규제가 점차 목을 조여 온다고 느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번주 인기 기사
-
때아닌 美 인플레 논쟁 “한 세대 내 경험하지 못한 인플레 온다”vs“디플레 압력 커”
-
[Interview] ‘승리호’ CG 제작 박관우 위지윅스튜디오 대표 “K콘텐츠 세계화 출발점…테크 기반 콘텐츠 공장될 것”
-
이필상의 아시아 기업 전성시대 <1> 미운 오리 ‘BYD’ 백조로 날게 한 ‘축적의 힘’ 분업 대신 종합적 접근이 이룬 배터리 혁신
-
쿠팡, 美 뉴욕 증시 상장한다 기업 가치 55조 공룡 전망…‘당일배송’ 승부수
-
부동산 돋보기 갭투자가 바꾸는 주택시장 풍속도
-
[Case Study] 2조원 대박 터뜨린 영상 채팅 앱 ‘아자르’ 창업 10번 실패한 서울대 창업 동아리 회장, 현지화와 기술력 앞세워 글로벌 시장 사로잡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