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력으로 새해 첫날인 2월 12일(이하 현지시각) 밤 중국 장시성 푸저우(撫州)의 여러 은행 지점 앞에 노인 수십 명이 긴 줄을 섰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 보도에 따르면 이들은 중국판 카카오톡으로 불리는 위챗 애플리케이션(앱) 등에서 “마윈(馬雲) 알리바바 창업자가 60세 이상 노인 한 명당 훙바오(紅包) 200위안(약 3만4000원)을 지급한다. 사회보험 카드를 가지고 가면 돈을 받을 수 있다”는 소문을 듣고 몰려들었다. 붉은 봉투란 뜻의 ‘훙바오’는 세뱃돈, 축의금 등 경조사 때 쓰이는 돈이다. 2월 11~17일 춘제(春節·중국 설) 연휴인 중국에서는 은행 영업을 하지 않았다. 이를 알면서도 많은 사람이 근거가 확실치 않은 소문을 믿었던 것은 그간 많은 기업이 춘제 기간에 종종 훙바오를 뿌렸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소동으로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마윈의 위상이 건재함이 입증됐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럴 가능성은 미지수다.
앞서 마윈은 지난해 10월 24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와이탄(外灘)금융 서밋’에서 ‘전당포 영업’이란 용어를 써가며 당국 금융규제의 후진성을 비판했다가 수뇌부의 미움을 샀다. 이어 알리바바 산하 핀테크(fintech·금융과 기술의 합성어) 계열사인 앤트파이낸셜그룹(이하 앤트그룹)의 홍콩 증시 상장이 무산되는 등 당국의 강도 높은 제재에 직면했다. 외신들은 중국 당국이 진짜로 노리는 건 앤트그룹이 보유한 소비자 신용 정보라고 분석했다. 앤트그룹은 10억 명 이상이 사용하는 전자결제 앱 알리페이를 통해 고객의 소비 패턴, 대출 및 상환 이력 등에 관한 빅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앤트그룹은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관리·감독을 받는 금융지주사로 바뀔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월 27일 앤트그룹이 금융지주사로 변신하겠다는 사업개편안을 중국 당국에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향후 금융당국의 엄격한 관리·감독 및 규제를 받게 된다는 뜻이다...
이번주 인기 기사
-
때아닌 美 인플레 논쟁 “한 세대 내 경험하지 못한 인플레 온다”vs“디플레 압력 커”
-
[Interview] ‘승리호’ CG 제작 박관우 위지윅스튜디오 대표 “K콘텐츠 세계화 출발점…테크 기반 콘텐츠 공장될 것”
-
이필상의 아시아 기업 전성시대 <1> 미운 오리 ‘BYD’ 백조로 날게 한 ‘축적의 힘’ 분업 대신 종합적 접근이 이룬 배터리 혁신
-
쿠팡, 美 뉴욕 증시 상장한다 기업 가치 55조 공룡 전망…‘당일배송’ 승부수
-
부동산 돋보기 갭투자가 바꾸는 주택시장 풍속도
-
[Case Study] 2조원 대박 터뜨린 영상 채팅 앱 ‘아자르’ 창업 10번 실패한 서울대 창업 동아리 회장, 현지화와 기술력 앞세워 글로벌 시장 사로잡다